당좌개설보증금, 결산 시 당좌차월 회계처리 분개방법(당좌예금개설 분개)

회계 실무에서 당좌차월과 당좌개설보증금, 그리고 결산 분개는 자주 등장하지는 않지만 막상 처리하려면 헷갈리는 부분이 많아요. “당좌차월 회계처리는 어떻게 하지? 단기차입금인가? 보증금은 자산인가? 결산 때 분개는 어떻게 해야 하지?” 이런 고민, 한 번쯤 해보셨죠?

오늘은 당좌개설보증금의 개념부터 특히 당좌차월 회계처리 분개 방법을 위주로, 예시와 함께 쉽게 설명해드릴께요.

1. 당좌예금과 당좌개설보증금

① 당좌예금이란?

당좌예금은 금융기관에 예치한 자금을 바탕으로 수표나 어음을 발행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. 이 계좌에서 당좌수표를 발행해 거래처에 지급할 수 있죠. 주로 기업이나 상업적인 거래에서 사용됩니다.

  • 당좌예금은 일반 예금과 달리, 수표를 발행해 지급하는 데 사용됩니다.
  • 당좌수표는 “이 수표를 제시하면 은행이 바로 돈을 지급해줍니다”라는 신용수단이에요. 즉, 즉시 결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금을 빠르게 사용할 수 있어요.
  • 기업은 당좌예금에 충분한 예금이 있어야 수표가 부도나지 않습니다.
  • 일부 금융기관에서는 당좌예금 계좌에 대해 초과인출을 허용하여, 계좌 잔액이 부족할 때에도 수표를 발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이것을 당좌차월이라고 해요.

② 당좌개설보증금은 투자자산?

당좌개설보증금은 은행에서 당좌예금 계좌를 개설할 때 내는 보증금입니다. 발행하는 회사의 부도 등 위험에 대비해 은행이 요구하는 보증금을 말해요.

분개할 때 ‘특정현금과예금‘ 계정과목으로 하며, 이는 투자자산 항목입니다. 말 그대로 보증금이라서 이 보증금으로는 수표발행을 할 수 없어요. 그래서 ‘현금및현금성자산’이 아닌 장기금융자산으로 분류됩니다.

  • 당좌개설보증금 = 수표 발행용 자금이 아님
  • 수표 발행은 당좌예금 잔액 또는 당좌차월 한도 내에서만 가능
  • 보증금은 은행의 위험관리용 예치금

2. 당좌차월은 마이너스 통장?

당좌차월은 당좌예금의 잔액이 부족해도, 은행이 미리 약정한 한도 내에서 부족분을 자동으로 대출해주는 제도입니다. 마이너스 통장과 좀 비슷하죠?^^ 그러나 수표나 어음을 발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다릅니다.

예를 들어, 당좌예금 잔액이 30만 원인데, 50만 원짜리 수표를 발행했다면 20만 원의 당좌차월이 생기는 거죠.

3. 당좌예금 개설부터 당좌차월 회계처리 분개해보기

당좌예금 개설부터 일어날 수 있는 상황들을 순서대로 설명해드릴께요.

기업은행과 2년간 당좌거래계약을 체결하고 당좌수표용지와 약속어음용지를 교부받았다.
당좌차월 한도액은 100만 원으로 확정했다.

① 당좌거래 개설보증금 10만 원을 현금 입금하여 당좌예금을 개설하였다.

차변 대변
특정현금과예금 100,000 현금 100,000

② 당좌예금 계좌에 50만 원을 입금하였다.

차변 대변
당좌예금 500,000 현금 500,000

→ 현재 당좌예금 잔액은 50만 원이며, 당좌차월 한도액은 100만 원입니다.

③ A 거래처의 외상매입금 30만 원을 수표로 발행하여 지급하였다.

차변 대변
외상매입금 300,000 당좌예금 300,000

→ 현재 당좌예금 잔액은 20만 원(50만-30만)이 되었으며, 당좌차월 한도액은 변함없이 100만 원입니다.

④ B 거래처의 외상매입금 60만 원을 수표로 발행하여 지급하였다.

차변 대변
외상매입금 600,000 당좌예금 200,000
당좌차월 400,000

→ 현재 다오자예금 잔액은 0원(20만-20만)이 되었으며, 당좌차월 한도액은 60만 원(100만-40만)이 되었습니다.

⑤ 상품 50만 원을 판매하고, 대금은 현금으로 받아 당좌예금 통장에 입금하였다.

차변 대변
당좌예금 150,000
당좌차월 400,000
상품 500,000
부가세예수금 50,000

→ 현재 당좌예금 잔액은 15만 원이 되었고, 당좌차월 한도액은 다시 100만 원이 되었습니다.

당좌예금에 입금을 하면 먼저 당좌차월의 마이너스(-) 된 금액부터 매꾸고, 그 후에 당좌예금에 나머지 돈이 입금됩니다.

4. 결산 시 당좌차월 회계처리 분개방법

당좌차월은 당좌예금 잔액을 초과해서 수표를 발행할 때 처리하는 부채계정이므로, 결산시에는 단기차입금으로 대체해야 합니다.

✔ 결산 시: 당좌차월 → 단기차입금

예시를 통해 설명해드릴께요.

① 당좌예금의 잔액이 20만 원이 있고, 회상매입금 50만원의 수표를 발행하여 당좌차월이 발생했다.

차변 대변
외상매입금 500,000 당좌예금 200,000
당좌차월 300,000

② 결산 시, 당좌차월 30만 원을 단기차입금으로 전환합니다.

날짜 차변 대변
12/31 당좌차월 300,000 단기차입금 300,000

이렇게 분개를 함으로써 당좌차월이 단기차입금으로 재분류되어, 재무제표에 정확한 재무상태를 반영하게 됩니다. 휴~ 당좌차월 회계처리 복잡한가요? ^^

Similar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