MMF(머니마켓펀드)회계처리 분개방법(매입,이자수익,기말평가손익,환매,배당금)
요즘 기업, 법인에서 자금을 잠깐 굴릴 때 참 많이 쓰는 MMF(머니마켓펀드)의 회계처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? MMF는 초단기집합투자상품이라서 회계처리가 헷갈릴 수밖에 없어요. 지금부터 MMF의 매입, 이자 수익, 기말평가, 환매 시, 배당금 수령 시 분개 방법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예시와 함께 자세하게 설명해드릴게요.
1. MMF(머니마켓펀드) 핵심개념
MMF(머니마켓펀드)는
증권사·투자신탁사가 자금을 모아 단기금융상품(기업어음, 양도성예금증서, 국공채 등)에 투자해서 운용하는 초단기집합투자기구입니다. 예금상품과 펀드상품의 특성이 혼합돼 있는데요.
예를 들어,
기업이 현금 1억 원을 쓸 데가 없어서 하루만 MMF에 넣었다고 해볼까요? 이럴 때 MMF는 하루만 맡겨도 이자를 주기 때문에 현금보다 나은 “단기 금융상품” 역할을 한답니다.
2. MMF 회계처리 원칙
회계기준에서는 MMF를 ‘현금및현금성자산’ 또는 ‘단기금융상품’ 혹은 ‘당기손익-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(FVPL)’으로 분류할 수 있어요. 다시 말해, 이러한 특성들이 공존(?)하고 있는 펀드인거죠.
- 현금및현금성자산: 만기 3개월 이내, 유동성이 매우 높을 때
- 단기금융상품: 3개월 초과, 혹은 일부 평가 위험이 있을 때
- FVPL(당기손익-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): 일반적으로 MMF는 단기매매 목적이 많고, SPPI 요건(원리금지급)의 충족이 어려워서, 당기손익-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합니다.
금융감독원은 MMF 수익증권의 회계처리에 대해 당기손익-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회계처리 하라고 말합니다.
예외도 있습니다.
현금및현금성자산의 요건을 충족할 경우에는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처리합니다.
예를 들어,
2개월 운용 MMF를 샀으면 ‘현금및현금성자산'(만기 3개월 미만 자산)으로, 6개월 만기라면 당기손익-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하는 것이 실무상 적합합니다.
여기서,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했다면 기말평가는 하지 않습니다.
3-1. MMF 매입 시 회계처리 분개방법
※기업이 회계정책상 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면 현금및현금성자산, 일부는 ‘단기금융상품’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.
MMF 20,000,000원을 보통예금에서 매입하였다.
차변 | 대변 |
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(MMF) 20,000,000 | 보통예금 20,000,000 |
혹시 수수료가 발생했다면 즉시 비용처리를 해줍니다.
차변 | 대변 |
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(MMF) 20,000,000 수수료비용 3,000 |
보통예금 20,003,000 |
3-2. 이자 발생 시 회계처리 분개방법
MMF에서 이자 수익 100,000원이 발생하였고, 원천세로 15,400원(이자소득세 14% + 지방소득세 1.4%)이 징수되었다.
차변 | 대변 |
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(MMF) 84,600 선납세금 15,400 |
이자수익 100,000 |
3-3. 기말평가와 평가손익 회계처리 분개방법
MMF는 결산일에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회계처리를 해주어야해요. 평가이익이나 평가손실이 있으면 당기손익에 즉시 반영해줍니다.
① 평가이익 발생 시
※실무에서는 평가이익, 금융자산평가이익,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등으로 사용되므로 회사 내부에서 주로 쓰는 항목을 사용하시면 됩니다.
차변 | 대변 |
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(MMF) 500,000 |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500,000 |
② 평가손실 발생 시
차변 | 대변 |
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300,000 |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(MMF) 300,000 |
3-4. MMF 환매(매도) 시 회계처리 분개방법
① 수익 발생 시
5,000,000원에 매입했던 MMF를 이자수익 포함하여 5,100,000원에 환매하고 보통예금으로 받았다.
차변 | 대변 |
보통예금 5,084,600 선납세금 15,400 |
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(MMF) 5,000,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이익 100,000 |
② 손실 발생 시
5,000,000원에 매입했던 MMF를 4,900,000원에 환매하여 보통예금으로 받았다.
차변 | 대변 |
보통예금 4,900,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처분손실 100,000 |
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(MMF) 5,000,000 |
3-5. 배당금 수령 시 회계처리 분개방법
MMF에서 배당금을 100,000원 받았고, 원천징수세(15,400원) 공제 후 실입금액 84,600원을 보통예금으로 받았다.
차변 | 대변 |
보통예금 84,600 선납세금 15,400 |
배당금수익 100,000 |
혹시나~ 혹시나~ 어떤 투자자산에서라도 주식으로 배당받게 된다면 특별한 회계처리 없이 단가 및 주식 수를 조정해서 반영해주면 됩니다. 나중에~ 나중에~ 처분시에 회계처리 해주시면 됩니다. 🙂
4. MM 상품 핵심 비교표 (MMF, MMW, MMT)
- MMF: 투자자 돈을 모아 자산운용사가 직접 굴리는 단기 펀드
- MMW: 내 계좌에서 운용사가 대신 단기금융상품 굴리는 서비스
- MMT: 신탁사가 내 요구대로 내 돈을 다양한 자산에 직접 투자해 주는 맞춤형 신탁
구분 | MMF(머니마켓펀드) | MMW(머니마켓랩) | MMT(특정금전신탁) |
상품 구조 | 펀드(집합투자) | 일임계약(랩계좌) | 신탁계약(단독, 맞춤형) |
운용 방식 | 운용사가 펀드 자금 직접 운용 | 운용사가 내 계좌 자산 운용 | 신탁사가 내 지시에 맞춰 운용 |
자산소유 | 펀드 소유(수익증권 가짐) | 내 명의로 직접 소유 | 실질적으로 내가 직접 소유 |
회계처리 | FVPL(당기손익)등 평가 | 자산별로 직접 투자처럼 처리 | 자산별로 직접 투자처럼 처리 |
출금/유동성 | 1~2일 내 환매 가능 | 실시간/단기 인출 가능 | 수시입출금 가능(맞춤형) |
예금자보호/원금 | 보호X, 원금비보장 | 보호X, 원금비보장 | 보호X, 원금비보장 |
요즘 MMF, MMW, MMT는 회계실무에서는 꼭 알아두어야 할 상품이에요.
꼭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. 🙂